top of page







시련을 견디는 생명력에서 온 조형미학

심상용 : 서울대학교 미술관 관장. 미술사학 박사

“하늘로 향해있는 "예술의 길"을 가고 있는 나의 모습을 본다.” -문혜정-


문혜정이 1991년에 그린 <White Flower Ⅰ>과 <White Flower II>는 30년이 지난 오늘날 더 인상적이다. 검정색 터치로 뒤덮인 캔버스 위로 구불구불, 끊길 듯하다 되돌아 나가는 흰 터치들 끝에서 한 송이의 꽃이 피어난다. 꿈틀거림, 그건 살아있는 것들 곧 생명의 특성이다. 꿈틀거림은 그 자체 하나의 온전한 시(詩)이기도 하다. 죽음의 감성은 시(詩)에 더 적합하다. 하지만 생명의 감정은 더더욱 그러하다. 살아있는 것은 장황한 묘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04년 작 <Lotus Landscape>부터는 부쩍 산문적 감성이 묻어난다. 대상을 보는 시점이 한결 관조적인 것이 되었다. 대상의 인식과 표현에서 변화가 감지된다. 김종영 미술관의 박춘호는 그것을 ‘꽃의 연대기로, 즉 ‘어떤 꽃'에서 '연꽃'을 거쳐 이름 없는 '들꽃'으로 변하는 여정으로 함축한다. 그 무렵 문혜정은 특별히 연꽃을 많이 그렸다. 연꽃은 사람들을 각기 자신의 내밀한 존재로 되돌려 보낸다. 청순한 연두 빛의 줄기들이 실은 진흙탕 속을 기는 까닭일 터다. 그토록 영롱한 청록빛이 진흙탕 속에서 잉태되다니! 그리고 연분홍 빛깔의 영롱함을 끝내 피워내고 만다. 이 여름 꽃은 토양을 문제 삼지 않는다. 신비로움, 숭고한 역설이다. 환경에 연연하지 않음, 위기를 견디는 힘, 도래할 만개를 믿고 기다리는 절개, 이것이 문혜정이 그의 회화에 담고자 했던 것의 이름이다. 문혜정의 꽃은 그저 관상용이 아닌 셈이다.

1990년대부터 문혜정은 꽃을 많이 그렸다. <Lotus Landscape>는 10여년 전의 <White FlowerⅠ>이나 <White Flower II>와 비교할 수 없이 화사하다. 절제된 재현 미학이 새롭게 시도된다. 뜨거운 심리상태가 이끄는 표현주의의 자취는 한결 완화되었다. 그렇더라도 그저 화사하기만 한 꽃은 없다. 희망은 상실의 한가운데서 세워지는 법이다. 이즈음에 그려진 <Landscape>에 단골로 등장하는 기둥, 수직적인 도상의 의미가 그러하다. 그것은 대지에서 대기를 향하는 모든 질서의 대변인이다. 빈센트 반 고흐의 사이프러스 나무의 기상(起床), 상승의 의지, 세파의 조류에서 위안과 격려의 축이다.

이 세계에 등장하는 것들은 시련의 역사와 시련을 견디는 생명력과 관련이 있다. 이 힘, 이 생명력이 문혜정의 40여년 회화사를 관류하는 주제다. 어떤 힘인가? 살아있음 자체에서 발현되는 힘, 씨앗에서 생명이 움트고 봉오리를 맺는 그 힘이다. 살아있는 것만이 조건에 동화되지 않고, 사망에 휩쓸리지 않는다. 그의 설치작업 <Ginseng Field> 연작도 같은 맥락이다. 인삼도 연꽃만큼이나 상징성이 강한 식물이다. 인삼의 생명성은 여러 측면에서 예술의 그것과 유사하다. 생장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이 그렇고, 충분한 약효성분을 위해서는 6년에 달하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빛가림(차광)과 저광도에서만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한 점에서 특히 그렇다. 예술성(예술적 질)도 종종 인생의 전 기간을 요할 만큼 더디 성취되고, 그 긴 기간 외부세계의 혼탁한 자극에서 충분히 독립적이어야만 하는 가치다. 예술의 힘이 세상을 견뎌온 이력에서 발현되는 이유이다.

문헤정의 <Ginseng Field>에서 마주하는 생명력은 그의 터치들, 꽃의 호흡을 기억하고 있는 거친 붓질에 배어 있는 속성이기도 하다. 줄기인 듯도 하고 그저 붓질인 듯도 한, 꽃잎인 듯하다가 어느덧 색의 몽글몽글한 향연이 되는 표현이다. 문혜정의 붓과 안료는 현실과 해석, 재현과 표현의 경계를 왕래한다. 여기서 표현은 대상에 한정되지 않고 대상을 뛰어넘는 자유를 따른다. 조금 거친 채여도 무방한, 굳이 정돈되지 않아도 되는 유희로 흐른다. 운률을 머금은 자유분방한 선(線)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굳이 의식하지 않는다. 경계를 넘나든다는 것 이야말로 살아있음의 특성이다. 이질적인 두 세계를 규정하는 관점에 갇히지 않는 것 또한 힘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 형식주의와 그 이분법을 넘어서도록 하는 그 가능성의 실체, 이것이 문혜정의 조형세계에서 읽어야 하는 미(美)의 테제다. (2022년 10월)


문혜정|文惠正 (1954 서울 생)


학력

1991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조형예술대학 아우프바우스튜디움(전문가연구과정) 졸업

1983 일본 동경 판화 연구소 수학

1980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전공 졸업

197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전공 졸업

개인전

2022 “생명력”, 베카갤러리, 서울

2018 “기억의 방”, 룬트갤러리, 서울

2018 “꽃 1990-2018”, 세종갤러리, 서울

2018 “그 길을 따라 Ⅲ”, 갤러리 초이, 서울

2015 “흐르는 강물처럼”, 갤러리 파비욘드, 서울

2012 “선(線) / Line”, 한전아트센터, 서울

2010 “그 길을 따라 Ⅱ”, 123 갤러리, 서울

2007 “그 길을 따라 Ⅰ”, 갤러리 영, 서울

2005 “연(蓮) / Lotus”, 주독한국문화원, 베를린, 독일

2005 “인삼 밭”, 고양미술스튜디오, 고양

2004 “울림”, 학고재 아트센터, 서울

1999 한원 미술관, 서울

1997 박영덕 화랑, 서울

1996 오스트필더른 시립미술관, 오스트필더른, 독일

1995 갤러리 서미, 서울

1995 쿤스트하우스 샬러, 슈투트가르트, 독일

1995 프리드릭스하펜 쿤스트페어라인, 프리드릭스하펜, 독일

1994 바덴뷜템버그 주정부 예술재단, 슈투트가르트, 독일

1994 쿤스트하우스 샬러, 슈투트가르트, 독일

1991 독일 바덴뷜템버그 국회, 슈투트가르트, 독일

1985 윤갤러리, 서울

다수의 국내외 단체전 (1979년 부터)

서울, 나고야, 오사카, 로스엔젤레스, 뉴저지,

슈투트가르트, 만하임, 칼스루헤, 알피어스바흐, 에슬링겐, 뷔델스도르프, 에센 등

수상 및 레지던시

2005 독일 외무성 예술가 기금

레지던시 퀸스틀러도르프 쉐핑겐, 독일

2004 국립 고양 미술스튜디오 입주작가

1992 독일 바덴뷜템베르그 주정부 예술기금

레지던시 바덴뷔르템베르그 쿤스트슈티푸퉁, 독일

1991 독일 Kodak 신진 사진작가 선정

1991 독일 바덴뷜템버그 국회 젊은 작가 공모전 수상

1990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조형 예술대학 장학금

1990 독일 IG Metall 공모전 수상

전시기획

2001 “LUNAPARK - 한국현대미술", 독일 뷜템베르그주립 슈투트가르트미술관

1999 “두 세계를 이으며 - Zwischen den Welten". 문예진흥원(현 아르코미술관)

1998 “독일현대미술의 움직임 - Zeitgenoessische Kunst aus Deutschland", 워커힐 미술관

1996 “Aus Seoul - 서울로부터”, 독일 슈투트가르트 시립미술관

교육경력

독일 에슬링겐 개방대학, 서울대학교, 경원대학교, 세종대학교, 상명대학교 등 강사, 전임강사 역임

작품소장

독일 바덴뷜템버그 국회

독일 뮌헨 히포은행

독일 오스트필더른 시립미술관

독일 SWSG

주독 한국대사관

한국전산원

대한주택공사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분당서울대병원

미래창조과학부 등







bottom of page